정선아리랑 2대 김병하 선생님 약력
Автор: 김길자 정선아리랑
Загружено: 2022-11-11
Просмотров: 1173
Описание:
**정선아리랑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사이트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https://js-arirang.tistory.com
2대 김병하 약력
정선군 북면 고양리 출생(음, 1945.03.19.), 6남매 중 막내.
20세에 평창군 진부면 장천리 전제옥과 혼인
1971-부터 3년간 외지 생활
1972- 삼성보경 총무계장 퇴사
1973- 도원가곡 창간호에 “아라리 전수의 긍지를 느끼며” 발표
1974~75- 성남·의정부·춘천 등에서 시계수리, 치과기술로 생활
역학(易學)을 수학함
1976-9월 24일 개최된 제1회 정선아리랑제,
아리랑경연대회 31세에 2등 입상
1977- 제2회 아리랑제 아리랑경연대회 때 1등 차지,
이때부터 아라리 명창 소리를 듣게 됨
1979-“전국민요백일장”에서 우수상 수상
1980년 10월- 제5회 정선아리랑제 지도위원으로 활동
1981- 제6회 정선아리랑제 아리랑 시연 참가
1982- 전국민요경창대회 정선아리랑 참가
1982- 1월“KBS 신년특집 아리랑 가족 출연”
1982- 제7회 정선아리랑제 아리랑 시연 참가
1983- 6월 제1회 강원도 민속예술경연대회, 정선아리랑 지도.
아라리 지정학교 정선여고에서 소리 지도
1984- “전국 민요경창 대회” 최우수상 수상, 6월 20일,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 예능보유자 지정받음.
정선아리랑 전수학교와 향토학교 등에서 아라리 전승과 보급
1984- 청와대 초청 문예인 간담회 참석
1985- 9월 제26회 전국민속경연 정선아리랑 시연 지도 참가
1985- 10월 제66 전국체전 및 민속경연 아리랑 시연(강릉시)
1986- 부터 강원도 민속예술경연대회 2.3.4.5.6회 지도자로 참가
1986- 3월 도서 출판 한길사 주관
“한길역사기행”에 딸 길자와 함께 초대되어 소리와 특강을 함
1986- 9월 제10회 아시안 게임 성화 봉송 한마당 축제 참가
1986- 9월 정선아리랑 음반 취입
1986- 제11회 정선아리랑제, 예능 분과 위원으로 활동
“김병하 아라리 전수회” 결성, 활동함.
1987-제12회 정선아리랑제 아리랑 경창 심사위원
1987- 정선군청의 배려로 군 공보과 소속(기능직 10등급)으로 근무
1988- 9월 88올림픽 문화축전 정선아리랑 시연
1989- 7월 정선아리랑 발표회 개최
1990 : 2월호 건축문화 전문지 “空間”에 최초로 답사 개념의
아라리 유적지 탐방로를 구상한
“정선아리랑의 유적 순환로와 노랫말”을 발표, 관심을 끌었음.
이때부터 “‘아리랑 박물관’ 건립을 꿈꿨고, 아리랑의 발상지로서의
정선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어 했음.
1990- 9월 31회 전국민속경연 정선아리랑 시연(제주도)
1993- 10월 아리랑 문헌 전시회 주관(정선문화예술회관 개관 기념)
1991- 3월, 제10회 신나라 정기 국악 감상회, “남한의 아리랑을 찾아서” 출현
1991- 9월 10회 강원도 민속경연 토방집 짓기놀이 참가
1994- 1월부터 정선문예회관 전수교실 운영
1994- 8월 13회 강원도 민속경연 성마령 길메기 놀이 참가
1994- 10월 33회 전국민속경연 정선아리랑 시연 참가
1994- 한민족 아리랑 보존연합회 부이사장 취임
1995- 2월 26일 뇌졸증 발병,
가혹한 목(성대) 씀으로 인한 언어 중추신경을 손상당해 언어장애까지
얻음. 상지대 한방병원(언어 신경 되찾을 때까지 무료치료 결정,
제6 내과 520호) 등의 무료 치료로 회복 기미가 있었으나
10월 22일 재발.
1996- 7월 강원도 문화상 전통예술 분야 수상
2007 : 12월 4일 13년 와병 중 영면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