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훈 교수의 암환자 스트레스 관리_불면증
Автор: Медицинский Центр Асан
Загружено: 2020-01-28
Просмотров: 7797
Описание: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의 차이나는 건강강좌!
암과 동행하는 의사들의 이야기 『암행의사』
제7편,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교수의
암환자 스트레스 관리 불면증 편입니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암행의사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두 번째는 이제 잠입니다 환자분들은 항암 치료하고 이러다 보면 피곤하니까
누워계세요 낮에 낮에 누워계시면 내가 피곤해서 누워있는다 그리고 밤에 잠을 자야 된다
그런데 밤에 잠을 잘 주무시면 다행인데 밤에 잠을 잘 못 주무시죠
그러면 내가 밤에 잠을 못 자니까 낮에 피곤하니까 나는 누워있어야 된다고 생각하세요
그러면 어떻게 돼요 밤에 또 못 잡니다 결국은 낮에 피곤해도 움직여야 밤에 잠을 자는데
잠을 못 자니까 피곤해서 낮에 누워있었으면 밤에 잠을 또 못 자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불면증 때문에 오시면 제가 맨 먼저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누워계신 것은 다 주무신 것이라고 그러면 누워있는 것이 왜 자는 것이냐고
나는 그냥 눈 뜨고 누워있었는데 TV 보고 누워있었는데
그러면 제가 맨날 그런 말씀을 드립니다 어머니 밥 먹기 전에 빵 먹고 피자 먹고
초콜릿 먹었으면 밥을 먹었어요 안 먹었어요 칼로리 섭취는 다 한 것이죠
점심 때 입맛이 없다고 병원에 찾아오셨습니다 제가 입맛이 없어요라고 하시는데
왜 입맛이 없으시냐고 여쭤봤더니 하루 종일 빵 먹고 초콜릿 먹고 있어서요
그러면 입맛 도는 약을 드려야겠어요 간식을 끊으라고 말씀을 드려야 되겠어요
당연히 간식을 끊으라고 해야겠죠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밥 안 먹었는데
라면만 먹었는데 라면 먹어도 밥 먹은 것이죠
그렇지만 라면을 먹은 것을 밥을 제대로 먹었다고 얘기하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잠을 못 자서 내가 누워있는 것은 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쉬었잖아요
우리가 잠을 자는 목적이 쉬는 것인데 누워있으면 쉬셨잖아요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누워있는 것만으로 잠을 잤다고 얘기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어쨌든 쉰 것은 쉰 것입니다 우리가 밤에 못 자면 낮에 피곤해서 쉬는 것은 맞는데
낮에 피곤해서 쉬었기 때문에 밤에 또 못 자기 때문에
이것을 생각하세요 잠이 중요하세요 낮에 쉬는 것이 중요하세요
잠이 중요하면 낮에 안 쉬셔야죠 그렇지 않습니까
그런데 내가 힘들어 죽겠는데
피곤한데 낮에라도 조금 쉬어야지 그러면 낮에 쉬는 대신 밤을 포기하시든지
내가 밤에 어떻게 잠을 포기하냐고 잠도 자야된다고 그러면 낮에 움직이시든지
그러면 낮에는 쉬시고 밤에는 주무시고 하루 종일 주무시겠다는 얘기죠
우리가 7시간을 자면 17시간을 움직여야 24시간이 만들어집니다
우리의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입니다 그러면 7시간을 자기 위해선 17시간을 움직여야 됩니다
여러분들 우리가 돈 받고 일하세요 일하고 돈 받으세요 일을 해야 돈을 주죠
17시간을 움직여야 7시간이 잠으로 주어집니다 그런데 환자분들은 내가 7시간을 자야
17시간을 움직일 수 있지 않냐고 생각하십니다 반대입니다
17시간을 움직이셔야 7시간이 잠으로 주어지는 것입니다
아침에 7시에 일어났습니다 그러면 17시간 지나면 언제냐면 새벽 12시입니다
12시에 자고 7시에 일어나면 7시간인 것입니다
물론 치료하다 보면 피곤하니까 조금 더 주무셔도 됩니다
한 8~9시간으로 치겠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11시에 누워서 7시에 일어나면
8시간 주무신 것입니다 생각보다 늦게 주무셔야 평균 수면시간에 도달합니다
일찍 주무시려면 어떻게 해야 되겠어요 일찍 일어나셔야 됩니다
내가 9시에는 자야되겠다 그러면 4시엔 일어나셔야 됩니다
그것이 7시간입니다 그러면 내가 4시에 일어나서 뭐 하냐
차라리 나는 7시까지 자야 된다 그러면 10시간을 주무시겠다는 얘기시죠
우리 몸이 그렇게 만들어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 몸은 7~8시간 이상 자게 만들어져 있지가 않습니다
보통 7~8시간 자고 나머지 시간에 활동을 해야 24시간이 채워지는 구조입니다
그러니까 내가 잠을 자려고 애를 쓴다고 자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피곤한 것이 너무 심해서 한 10시간은 자야 된다
그럴 때는 수면장애가 있으신 것입니다
잠을 자도 자도 개운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불면증이 아니라 다른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쨌든 밤에 잘 자려면 낮에 움직이셔야 밤에 잘 잡니다
그래서 이것이 굉장히 중요한 얘기인데 수면제 쓰시는 것도 똑같습니다
보통 저희가 잠을 못 주무신다고 수면제를 드리면 대개 9시에 드십니다 9시에 주무시려고
그런데 아까 말씀드렸죠 7시에 일어나신 분은 12시에 잠이 오는데
9시부터 수면제를 먹으면 잠이 오겠습니까 안 오겠습니까 잠 안 옵니다
수면제는 마취제가 아닙니다 마취제는 내가 마취 주사를 맞으면 그냥 잠들어 버리죠
수면제는 내가 마음대로 먹는다고 자는 약이 아닙니다
일어나는 시간과 자는 시간이 맞춰지면 그때 잘 맞춰서 먹어야 효과가 나타납니다
수면제를 일찍 드시고 나는 빨리 잠들어야 되겠다 일찍 주무시려고 하면 효과가 안 생깁니다
왜냐하면 그 전 날에 7시에 일어나셨으니까
만약에 오늘 내가 9시에 자고 싶다 그러면 그 전 날에 새벽 4시에 일어나셨어야 됩니다
그런데 내가 만약에 오늘 너무 잠이 안 와서 새벽 3시에나 겨우 잠들어서 10시에 일어났다
그러면 그 다음 날까지도 새벽 3시까지 잠이 안 옵니다
그러면 뭐가 중요하단 말이에요 일어나는 시간이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
사람들에게 몇 시에 주무시냐고 여쭤보면 대중 없다고 얘기하시는데
대중 없으면 대중 없는 것입니다 그냥 대중 있게 만드셔야 됩니다
일어나는 것이 대중 있으셔야 됩니다
일어나는 것이라고 하는 것은 눈을 뜬 것이 아니라 몸을 일으킨 시간입니다
그러니까 몸을 완전히 일으킨 시간을 7시로 맞춘다고 하면
보통 한 12시쯤 잠이 오도록 맞춰집니다
그래서 일어나는 것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갖는다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니라
일어나는 시간을 명확하게 하라는 뜻입니다
그러고 그 시간에 맞춰서 자는 시간이 결정되니까 그 전까지는 활동을 하라는 얘기입니다
Q1 밤에 못 잔 시간을 낮에 보충해도 될까요?
밤에 못 자면 낮에 보충한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밤에 못 잔 것을 낮에 보충하다 보면 밤에 또 못 잡니다
어제 저녁 안 드셨다고 해서 오늘 저녁 두 그릇 드시나요 안 그러시잖아요
어제 저녁 안 드시고 아침에 일어났으면 어제 저녁은 끝입니다
내가 어제 저녁을 못 먹었으니까 오늘 두 그릇 먹어야지 이렇게 안 하시잖아요
그런데 사람들은 어제 잠을 못 잔 것을 낮에 보충하려고 합니다 어제 것은 이미 지나갔습니다
오늘 잘 자면 됩니다 생각을 바꾸셔야 합니다
내가 어제 못 잤다고 억울해하지 마시고 못 잔 것은 못 잔 것이고
오늘 움직여서 오늘 저녁에 잘 잠들 생각을 하셔야죠 그렇게 생각을 바꾸셨으면 좋겠습니다
Q2 수면제 의존이 걱정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수면제는 필요할 때만 드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런 것은 있습니다 내과 선생님들이 혈압약을 쓰시잖아요
혈압약을 쓰실 때 혈압약을 안 써도 되는 분에게 쓰시겠습니까
혈압약을 써야 되니까 혈압약을 쓰셨겠죠
무슨 얘기냐 하면 혈압을 쟀더니 혈압이 올라가있습니다
그러니까 혈압약을 쓰면 혈압이 떨어지니까 약을 썼습니다
그런데 혈압약을 끊으면 어떻게 돼요 혈압이 올라가죠 다시 혈압이 오르죠
그런데 그분을 봤더니 굉장히 뚱뚱합니다 그래서 열심히 살을 빼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살이 빠졌는데 혈압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면 사실은 살을 빼서 치료하면 됐었던 문제였습니다
그러니까 혈압약을 쓸 이유가 없는 것이죠 그러면 어떻게 되겠어요
환자가 혈압이 높다 그러면 일단 살부터 빼고
살이 빠져서 혈압이 떨어지면 혈압약을 안 써도 되고
그런데 살이 빠졌는데도 혈압이 높다 다른 원인을 다 찾았는데도 혈압이 높다
그러면 어떻게 하겠어요 혈압약을 써야죠 불면증이 그렇습니다
잠이 안 와서 오셨는데 제가 봤더니 하루 종일 누워계셨습니다
그러면 하루 종일 누워계신 것부터 없애야죠
그러면 누워있는 것을 없애고 활동을 많이 해서 7시간 주무시도록 만들고
17시간 활동하게 만들었더니 잠을 잘 주무시네 그러면 수면제가 필요 없죠
그런데 그렇게 했는데도 잠이 안 온다 그리고 55~60세로 나이가 드셨습니다
무슨 얘기냐 하면 우리가 나이가 들면 혈압도 생기고 당뇨도 생기잖아요
나이가 들면 불면증도 생깁니다 물론 일시적으로 어떤 스트레스 때문에
불면증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 경우는 대개 일시적이니까 그냥 넘어갑니다
그런데 오랫동안 불면증이 쭉 있으신 분들은 하루 종일 누워계셨거나
아니면 우울증이 있으시거나 이런 경우는 그런 것을 해결하면 되는데
나는 정말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고 정말 활동도 열심히 하는데
그래도 계속 만성적으로 잠을 못 자요 그러면 그냥 나이가 드셔서 못 자는 것입니다
제가 그런 얘기를 해드리면 기분 나빠 하십니다 나이가 드셔서 못 주무시는 것이라고 하면
내 나이가 무슨 못 잘 나이냐고 그러시는데
그러면 제가 어머니 지금 100m 달리기 몇 초에 뛰세요 15초에 뛰실 수 있으세요 이러면
못 뛰지 왜요 나이가 들었잖아
그러니까 잠이라는 것도 어떻게 보면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조금
근력도 떨어지고 혈압도 조절이 안 되고 당도 조절이 안 되는 것처럼 잠이라고 하는 기능 자체도
뇌에서 기능 자체가 떨어지는 것이거든요 어느 정도는 필요한 부분도 있습니다
다만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와 상의하셔서
필요한 경우입니까 아니면 안 먹어도 되는 경우입니까 상의를 하셔야 됩니다
그런데 불면증은 아직까지 수면 의학이라고 하는 것이
아직까지는 그렇게 아주 넓은 분야는 아니라서
수면제만 그냥 받아 드실 때는 잘못 드시게 될 확률이 아직까진 조금 있습니다
그래서 수면을 제대로 하시는 분들한테 조금 약을 드셔야 그래도 조절이 되고
필요하냐 아니냐를 확정을 받으실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조금 필요한 부분이 있고
그래서 어쨌든 활동을 열심히 하시면 좋겠고
그래도 불구하고 안 되면 조금 조심스럽지만 어쨌든 잘 드시면 됩니다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