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련불교문화재단_성철사상연구원
성철스님 선양사업을 펼치는 재단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백련불교문화재단은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해 스님의 사상과 법문, 성철사상연구원 학술활동, 도서출판 장경각의 불서, 월간 ‘고경’의 콘텐츠 등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특히,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업로드 되는 성철 스님의 육성법문과 페이스북으로 매주 업데이트 되는 성철 스님의 법어를 홈페이지에서 한꺼번에 만나 볼 수 있도록 연동했습니다.이와함께 BBS TV와 백련불교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제작 방송하는 ‘백일법문’의 내용도 홈페이지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자기 딸의 전생을 조사해 밝혀낸 휴즈 박사 이야기 [성철스님 소참법문]
육조 혜능이 중도를 그토록 강조한 이유 [성철스님 소참법문]
불교를 배우고 수행해야 하는 이유 [성철스님 소참법문]
아뢰야식의 근본무명을 벗겨내면 나타나는 제9식 백정식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본지풍광 5] 임제빈주 : 스스로 주인공이 되어 진리의 주체가 되야 한다
부처님이 이말했다 저말했다 하는 이유는? [성철스님 소참법문]
전생을 조사하는 방법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본지풍광 4] 영운견도 : 복숭아 꽃을 보고 깨닫다
초심자들이 변견 (극단)에 빠지지 않으려면 [성철스님 소참법문]
최면을 통한 연령퇴행으로 전생을 볼 수 있을까? [성철스님 소참법문]
윤회는 부처님의 독창적 사상입니까? 힌두교의 사상입니까?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본지풍광 3] 노파심절 : 임제선사와 황벽선사의 일화 속 깨침
차시환생 : 죽은 뒤에 깨어난 중국사람 최천선 이야기 [성철스님 소참법문]
팔정도는 팔중도다. 중도는 팔정도의 실천이다 [성철스님 소참법문]
뉴턴도 프로이드도 처음엔 다 이상한 사람이란 평가받았다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본지풍광 2] 4칙 삼성봉인 : 사람을 보면 나가는 이유와 안나가는 이유
선불교의 가르침도 곧 중도가 핵심이다 [성철스님 소참법문]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도 한때는 비상식이었다 [성철스님 소참법문]
차조동시(遮照同時)와 진공묘유(眞空妙有)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본지풍광 1] 1칙 덕산탁발 : 덕산은 왜 바루를 들고 돌아갔을까? 언어를 초월한 가르침
분신술 최면술과 같은 초능력을 어떻게 볼까?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선문정로 30회] 임제종의 가르침 3현3요(三玄三要) : 깨달음을 얻는 방법
[성철스님 선문정로 29회] 현요정편의 의미 : 깨달음으로 나아가기 위한 바른 견해를 구분하는 법
중도는 쌍차고, 쌍조고, 비유이며 비무이다.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선문정로 28회] 불법은 깨치는데 있지, 문자를 파는데 있지 않다. 구경각은 어떻게 얻을까?
아바타를 만들어내는 신통을 보인 스님들 [성철스님 소참법문]
중도를 깨치면 일체법이 불법이 된다 [성철스님 소참법문]
듀크대학 라인 박사의 초 심리 연구를 통해본 윤회 [성철스님 소참법문]
[성철스님 선문정로 27] 활연누진 2 : 번뇌가 남김없이 사라진 경지란 무엇인가
불교의 중도와 유교의 중용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성철스님 소참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