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조선업 재건! 국영 조선소 1조 엔 투자, 한국 조선업에 위협이 될까?
Автор: 메르의 오늘 경제
Загружено: 2025-07-08
Просмотров: 109
Описание:
메르 블로그 원글
https://blog.naver.com/ranto28/223926...
요약 글
https://luni.co.kr/20250709/japan-gov...
일본 국영 조선소 추진, 전망
1. 일본 조선업의 부흥과 쇠퇴
• 1970년대까지 세계 상선 시장의 60%를 점유했으나, 오일쇼크와 한국 조선사의 저가 경쟁에 밀림.
• 인건비 절감을 위해 설계 자동화·표준화를 도입해 초기에는 성과를 냄.
• 하지만 결국 설계·현장 모두 숙련 인력이 사라지는 부작용 발생.
2. 상선 시장 경쟁력 상실
• 1990년대, 상선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시장 요구가 까다로워짐.
• 표준화된 설계 방식은 복잡해진 시장 요구에 맞지 않아 경쟁력이 더욱 약화됨.
• 결국 일본 1위 미쓰비시중공업이 신형 크루즈선에서 막대한 손실을 남기며 상선 시장 철수.
• 다른 조선사들도 점차 상선 시장에서 철수하며 글로벌 존재감 상실.
3. 상선 공급 한계
• 미쓰이 E&S는 상선을 포기하고 항만 크레인 및 저속엔진에 집중, 미국의 중국산 크레인 견제로 수혜 기대.
• 상선 분야는 인건비 상승, 청년 인력 부족, 노령화로 생산능력 확장이 어려움.
• 일본 자국 수요만으로도 이미 수주가 가득 차 글로벌 수주 확장 여력은 제한적.
4. 변화와 한계
• 일본 조선소 합병: 합병 효과(규모의 경제)가 크지 않아 상선 캐파 확대 여력 부족, 실질적으로는 방산 역량 확대.
• 일본 국영 조선소 제안: 초기 논의 수준이며, 1조엔 중 대부분이 인력 양성 중심이고 캐파 확대 비중은 제한적.
• 중국 조선소 합병: 초저가 출혈 경쟁을 막기 위한 조치로, 역시 캐파 확대를 기대하긴 어려움.
한 줄 정리:
일본은 조선소 통합과 정부 지원으로 활로를 모색하지만, 인력 문제 해결 없이는 생산 능력 확대는 어려워 보임. 방산 분야에서의 역량 확대 가능성은 있음.
#인력부족 #상선 #조선업전망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