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cliper

Популярное

Музыка Кино и Анимация Автомобили Животные Спорт Путешествия Игры Юмор

Интересные видео

2025 Сериалы Трейлеры Новости Как сделать Видеоуроки Diy своими руками

Топ запросов

смотреть а4 schoolboy runaway турецкий сериал смотреть мультфильмы эдисон
Скачать

05장:『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책 요약 - 인터넷은 우리의 서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Автор: Dr.N의 책 이야기

Загружено: 2025-11-17

Просмотров: 12

Описание: 자미라 엘 우아실 , 프리데만 카릭,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신화 거짓말 유토피아』, 김현정 번역(원더박스, 2023), ISBN: 9791192953151

5장: 첫 번째 문턱을 넘다 - 인터넷은 우리의 서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195-241쪽

제가 5장을 요약한 다음 내용을 NotebookLM으로 만든 동영상입니다.

이 장은 디지털 시대, 특히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가 우리의 자기 서사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1. 스마트폰과 자기 서사

인류 역사에서 스마트폰만큼 강력하고 수많은 사람의 삶에 영향을 미친 기기는 거의 없었다. 스마트폰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어하고 넘쳐나는 정보와 활동을 의미 있게 선택하기 위해 우리는 가장 효과적으로 의미를 마련해주는 도구인 '스토리'를 이용한다. 우리는 인풋과 아웃풋을 곧바로 스토리 속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으며, 하나의 사진을 올리는 것도 자기 서사가 된다(210쪽).

“우리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서 우리가 가장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211쪽)

2. 셀피의 등장과 의미

디지털 방식으로 연출된 스토리의 주요 주인공으로 셀피가 무대에 등장했다.
철학자이자 예술사학자인 볼프강 울리히는 "셀피를 찍는다는 것은 자기 스스로 만든 이미지를 찍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셀피는 근본적으로 사진의 사진이다"라고 말한다. 자기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자기만의 표정에 공을 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시성을 분명하게 드러내거나 고조시키는 것도 의미한다(212쪽).

3. 서사적 이미지로서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

사람 얼굴이 보이든 아니든 모든 게시물은 어느 정도 특정 의식 상태를 전달하며, 그것들은 우리 일상의 서사적 단편이라고 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는 정적 이미지도 언제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목표와 벡터가 포함되어 있다.
음식 사진의 예를 보면, 얼핏 보면 음식 사진만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쾌락주의, 차별, 소셜 미디어 특유의 부분 대중과의 놀이가 담긴 자기 서사를 보게 된다. 스마트폰은 이야기하는 원숭이인 우리가 글자나 그림문자, 사진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코멘트를 달고 반응하는 자기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계속 추가되는 각각의 이미지는 끝없는 영웅여정의 한 걸음 한 걸음을 나타낸다(212쪽).

4. 인간의 확장으로서의 스마트폰

“어떤 의미에서 보면 휴대전화(스마트폰)는 자기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우리 자아의 연장된 팔이라고 볼 수 있다.”(213쪽)

미디어 이론가 마셜 맥루한은 이러한 휴대전화를 '인간의 확장' 혹은 '우리 자신의 확장'이라고 불렀을 것이다. 그는 텔레비전으로는 우리의 시력이, 라디오로는 듣는 방식이 확장되었다고 생각했다(212-213쪽).

5. 셀피와 자기성찰

셀피가 나르시스적인 이미지라기보다 의사를 표현하는 이미지이며 예술사에 등장하는 고전적인 자화상과 거의 관련이 없다고 가정한다면, 인터넷의 모든 자기 이미지는 의사소통 행위, 즉 '언어화된 이미지 소통'이 된다. 이미지가 영웅 여정을 기록한다기보다는 우리의 영웅 일대기는 지속적이고 영원한 우리의 서사적 자아 탐구로서 바로 이러한 영웅 여정의 일부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셀피는 결과물이 아니라 서사적 자아의 도구다(218쪽).

6. 거울의 방에 갇힌 현대인

미국 작가 지아 톨렌티노는 "마치 우리가 전 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지점에 서서 모든 것이 우리 자신의 거울 이미지처럼 보이는 망원경을 받은 것과 같다"고 말한다. 모든 것은 자기 서사의 일부, 자기 서사의 표현, 자기 서사의 효과가 된다. 피드백 고리와 자기강화 효과를 지닌 인터넷은 다차원 만화경과 비슷하며, 이 만화경의 중앙에는 구체적이고 쉽게 정의된 정체성이 있고 수천 개의 반사와 굴절, 왜곡이 보인다.
온갖 플랫폼에서 자기의 모습을 비춰보고 싶은 유혹은 거울 없이는 자신에 대한 구상을 전혀 갖지 못했을 인간 존재에게 너무 강력하게 느껴진다. 우리가 모든 소셜 미디어를 완전히 거부할 때조차 우리는 그런 행위로 우리 자신에 대한 특정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금욕은 그 자체로 고유한 자기 서사 장르가 되었다. 디지털 시대에는 자신을 비춰보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야기하는 원숭이는 거울의 방에 갇히게 되었다(218쪽).

“오래전 설파된 바츨라빅 Watzlawick 공리(‘의사소통을 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소셜 미디어에서 다시 한번 확인된 듯하다. 즉 서사를 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디지털 시대에는 자신을 바춰보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야기하는 원숭이는 거울의 방에 갇히게 되었다.”(219쪽)

7. 서사적 권한과 자기 통제

다른 사람이 우리의 서사적 자아에 대한 해석 권한을 갖지 못하도록 자신에게 서사적 권한을 부여하려는 욕구 혹은 필수적인 노력이 생겨난다. 자신을 성공(또는 실패)의 스토리로 이야기를 하거나 다른 관찰자가 이 공백을 자동으로 보완하는 것이다(220쪽).

“이야기하거나 이야기가 되어지거나 – 먹거나 먹힌다는 의미에서 – 둘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적, 미디어적 압박감은 매우 크다. 엄밀히 말해서 우리에게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221쪽)

8. 5장 핵심 요약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는 현대인의 자기 서사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210-221쪽). 우리는 무한한 정보 속에서 의미를 창출하기 위해 '스토리'에 의존하며, 모든 게시물과 사진은 자기 서사의 일부가 된다(210-212쪽).
셀피의 등장은 이 변화의 상징이다. 철학자 울리히에 따르면 셀피는 단순한 자기 사진이 아니라 자기가 만든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의 사진'이며, 자신의 가시성을 의도적으로 구성하는 행위다(212쪽).
거울의 방이라는 메타포는 디지털 시대의 핵심을 포착한다. 인터넷은 피드백과 자기강화 효과를 통해 모든 것을 자기 서사로 환원시키는 다차원 만화경처럼 작동한다. 심지어 소셜 미디어 거부도 고유한 자기 서사 장르가 되어, 현대인은 자신을 비춰보지 않을 수 없다(218쪽).

9. 문제 제기: 거울의 방의 이중성과 자기강화 효과의 메커니즘

"피드백과 자기강화 효과를 통해 모든 것을 자기 서사로 환원시키는" 인터넷의 작동 방식(218쪽)에서, 개인이 생성한 서사가 알고리즘에 의해 필터링되고 타인의 반응(좋아요, 댓글 등)으로 증폭될 때, 이것이 원래의 자기 서사를 강화하는가 아니면 변형하는가? 거울의 방에서 반사되고 굴절된 이미지가 다시 자기에게 돌아올 때, 현대인은 자신의 원래 의도와 얼마나 다른 자기상(self-image)을 경험하게 되는가?

#엘우아실 , #카릭, #세상은이야기로만들어졌다, #스토리텔링, #이야기, #내러티브, #신화, #책요약, #책내용, #책소개, #자기서사, #셀피, #스마트폰, #SNS, #자기상, #selfimage, #셀피

Не удается загрузить Youtube-плеер. Проверьте блокировку Youtube в вашей сети.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05장:『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책 요약 - 인터넷은 우리의 서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Поделиться в: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

Скачать аудио

Похожие видео

© 2025 ycliper. Все права защищены.



  • Контакты
  • О нас
  • Политик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Контакты для правообладателей: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