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세어라 은마아파트
Автор: 부동산 배우기
Загружено: 2021-01-17
Просмотров: 1173
Описание:
굳세어라 은마아파트
은마아파트를 촬영하기 위해서 대치역에 도착하였습니다.
은마아파트는 1967년 강남 재개발을 시작되며 민간건설업체인 한보주택이
1978년 5월 27일 사업승인을 취득하고, 1979년 9월 준공하였는데
한보에서 기증한것 같은 지하철역에 한보마크가 있는 벤치가 있군요.
한보그룹은 세월의 뒤안길로 물러나고, 밴치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모습입니다.
강남 재건축 이슈가 나올때마다 주역으로 등장하는 은마 아파트...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요. 궁금해서 직접 와 봤습니다.
그리고 재건축 되기전의 지금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놓고 싶었어요.
대치역 사거리
국민은행 건물이 마치 오랜 세월을 지켜온 박물관의 모습처럼 보여 집니다.
저 국민은행 뒷편이 은마아파트 입니다.
은마상가의 모습니다.
요즘 흔히보는 프랜차이즈 업종 보다는 생활 밀착형 가게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중개업소가 많은것이 특징입니다.
한집걸러 중개업소가 있을정도인데, 그것은 은마아파트의 중개물량이 많기 때문이겠죠.
중개물량이 없으면 이많은 중개업소가 생존할수 없잖아요.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유명한 학원가 덕분에 자녀교육을 위해서 전국에서 몰려올 정도로 인기가 많은데...
매매 보다는 전월세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많다고 합니다.
거래량이 많으니 중개업소가 많을수 밖에 없겠죠.
은마아파트 정문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은마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316 대지 23만 9,224㎡에 14층 규모 건물 28개동으로 건설.
단위세대는 101㎡ 2,674가구, 115㎡ 1,750가구로 총 4,424가구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강남구에서 개포 1단지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아파트단지 입니다.
은마아파트는 사방면에 삼성로, 영동대로, 남부순환로, 도곡로 등이 최근접에 있고,
지하철 3호선 대치역과 학여울을 끼고있는 더블 역세권입니다.
학군 또한 최상위 강남 8학군이고, 도곡로, 남부순환로에
학원가가 있기 때문에 최고의 교육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마 아파트의 11월 늦가을의 모습입니다.
보시다시피 지상에 주차장이 있는데 지금시간이 오후 1시 인데도
주차된 차량으로 가득차 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직작인들이 퇴근하여 집으로 올 시간에는 주차하기가 얼마나 힘들것인지 보지않아도 짐작이 갑니다.
이에 은마 아파트는 외부 차량 요금제와 주차 공간 증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지만,
각 가정의 차량보유대수 증가를 따라가기는 역부족이라 합니다.
은마아파트는 한보그릅에서 지었는데요.
은마 아파트의 건설을 개기로 일개 신흥 건설사 겸 광산기업에 불과했던 한보그룹은 대형 재벌로 성장하게 되고.
한보는 은마아파트를 짓던 도중 부동산 규제가 걸려서 위기를 격기도 했지만,
2차 오일쇼크가 터지며 화폐가치가 폭락하게 되면서 실물자산인 부동산이
안전자산으로 각광받으면서 기사회생했다고 합니다.
이 경험 덕택에 정태수는 한보그룹이 대형 재벌로 성장하고 나서도
은마아파트 터를 돈이 들어오는 자리라면서 애지중지하게 여겼고 그 덕택에
한보그룹이 부도나기 전까지도 한보그룹 본사를 계속해서 은마상가 자리에 두었다고 전해질정도로
은마아파트에 대한 애착을 보였는데요.
그 애착은 한보그룹이 1997년 1월에 부도난 이후로도 계속되어 2000년대 중반까지 한보 관련 기업들이
은마상가 자리에 입주해 있었을 정도라고 하는데 ,
2006년에 은마상가가 외국계 기업에게 낙찰되면서 현재는 한보은 거의 찾을수가 없다고 합니다..
당시은마아파트 건설당시
도로를 매우 널찍하게 영동5로(현 삼성로), 영동6로(현 영동대로), 남부순환로를 지었고
그리고 영동6로는 왕복 10~14차선 도로로(70여미터.)
광화문 앞에 세종대로 다음으로 넓은도로였다고 합니다.
1970년대에 개설된 도로였는데 그땐 다니는 차가 많지 않았는데 필요이상으로
도로를 넒게 개설했다고 전시행정이다, 예산낭비다, 말들이 참 많았다고 합니다.
은마아파트는 1999년 재건축사업이 시작되어,
2002년 삼성물산과 LG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었습니다.
102m²형[31평형]과 112m²형[34평형] 4,424가구로 1대1 재건축될 계획이었는데
2002년 이후 안전진단에서 세 차례나 통과하지 못하여, 재건축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후로도 강남 지역 집값 폭등의 진앙지로 인식되어온 은마아파트는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정책의 주 타깃이 되어, 재건축사업이 난항을 겪었죠.
2010년 8월 강남구가 발표한 은마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에 따르면
단지를 5개 구역으로 나눠 평균 30층 아파트를 짓고, 학여울 사거리 방면의 3개동은
평균 40층으로 건축해 랜드마크로 만든다는 계휙 이었습니다.
2011년 5월 정비계획을 확정하고, 2012년 1월 조합을 설립해
이르면 2013년 착공, 2016년 준공할 계획이었는데
2012년에 은마아파트 재건축사업은 단지 내 도로와 사업추진방식을 놓고
주민 간 이견으로 정비계획안 처리가 지연되었죠.
2015년 12월 은마아파트 재건축 조합설립 추진위원회는
소유주 70% 이상의 정비구역 지정 동의를 받고 정비계획안을 강남구청에 제출했는데.
단지 내 폭 15m의 자동차 도로를 보행도로 변경하는 내용과 최고층을 49층 미만으로 조정,
용적률 변경 등이 핵심적인 내용이었습니다.
2017년 현재 49층 재건축안은 서울시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35층 재건축안을 도시계획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지만
아직도 재건축 논이는 난항을 격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 지역의 개발로 지어진 2번째 대단지 아파트 죠.
강남구 최대의 주거 전용 대단지로 , 부지 면적은 237,900 제곱미터 입니다.
36년 동안 강남 아파트의 상징이었다가 2015년부터는 재건축 준비에 온힘을 싣고 있는데요
은마 아파트는 부지가 워낙 넒어 단지를 제대로 돌아보려면 2시간을 족히 걸릴정도 입니다.
이렇게 넒은 부지가 재건축이 되어 84제곱미터 기준 아파트가 50억을 오르내린다면, 강남의 부동산은
그영향으로 요동칠것은 뻔하기 때문에 서울시는 이점을 경제하지 않을수가 없었겠죠.
그래서 아파트 재건축에 대해서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데
그러나, 재건축을 언제까지는 미룰수도 없고, 주민들의 거주편의를 위해서
서로 터협해서 더 멋진 은마 아파트로 탄생해야죠
은마아파트는 지은지 40년이 지난 노후된 아파트 이지만
그러나 아직도 20억이 넘는 가격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일단 은마 아파트는 3호선 대치역을 바로 옆에, 두고있고
학여울역을 근처에 둔 더블 역세권 입니다. 또한 각 블록마다
여러 노선의 버스가 운행하는 정류장이 있기 때문에
서울 주요 지역을 아주 쉽게 오갈수 있는 요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영동 대로, 올림픽 대로 진출도 쉬어 차량으로 이동하기도 편리하죠
무엇보다 은마 아파트 주위로 최고의 교육 환경, 학세권이 펼쳐져 있어.
대치동 학원가의 중심으로, 은마 아파트 사거리에는 내로라하는 학원들이 .
우수 학군으로 알려진 대치 초등학교, 대청 중학교, 휘문고, 숙명여고 등과도
가까워 8학군을 선호하는 학부모들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 입니다.
은마아파트 인근엔 이마트, 롯데 백화점, 코엑스 몰 등도 있어 쇼핑을 즐기기에도 찹좋고
양재천과도 가까워 답답한 도시생활에서 벋어나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좋은입지를 가졌습니다.
시설이 노후하다는 점을 뺀다면 입지, 학군, 교통의 요지등 부족한것이 없는 아파트 입니다.
이곳이 학여울역 사거리 입니다.
학여울역에서 바라본 은마 아파트의 모습 입니다.
잠시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일본이 부동산 버블이 꺼지면서 도쿄의 집값이 곤드박질치고
일본의 신도시들도 함께 무너진 사례가 있습니다.
몰락한 신도시’의 대명사인 일본 타마신도시가 대표적이죠.
도쿄의 땅값이 떨어지자
건설사들은 저렴해진 도쿄땅에 초 고밀도, 초고층 건물을 짓기 시작했고,
여기에 젊은이들이 신도시를 떠나 수도권으로 몰려오면서 신도시가
노인들만 남아있는 몰락의 땅으로 변모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신도시엔 근린상가 뿐 아니라 단지 내 상가조차
제대로 운영되는 곳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합니다.
그대신 편의점차가 돌아다니며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엓게 생필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의 신도시의 몰락한 이유중의 하나가 도교의 집값폭락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강남의 집값이 떨어지면 수돗권 집값도 함깨 떨어지는것은 자명한 일 입니다.
우리나라 핵심지역의 집값이 떨어지는데 주변의 아파트는 더 떨어지는것은 당연하니까요.
서울의 집값이 완만하게 상승추세를 유지하는것이 가장 바람직 합니다.
그래야 주변의 신도시 주택들도 따라가며 상승을 할 수있기 때문입니다.
다 잘사는 대한민국이 되어야죠.
대치동은마아파트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