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이란 무엇인가? 한국교회 구원론 다시보기(한국구성신학2)_자기주도신학 북리뷰
Автор: 귀한리뷰 Ph.D., Rev.
Загружено: 2024-08-05
Просмотров: 1174
                Описание:
                    한국교회 구원론 다시보기_한국구성신학2
본 영상은 한국 개신교 원로신학자이자 한국구성신학
시원(始源) 김흡영 교수님의 도의 신학2(2012)
제1장 우리 신학을 찾아서
제2부 한국 개신교 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한
_한국 개신교의 구원론은 재고되어야 한다 
27-29를 요약발췌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구원은
통시적이고 종합적인 것이지
일시적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닙니다
구원이란 인간이 가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영원한 순간과 궁극적 존재와의 합일을 내포합니다
그러한 구원이 한 개인의 초월 경험에 의해 
축소 이해되고 그 기준에 따라
다른 개인이나 공동체에게 희생을 강요한다면
그것은 십자가의 희생적 사랑을 전제로 하는
그리스도의 복음이 아니고
복음을 개인주의적 이념으로 환원시키는
구원론적 이기주의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한국교회가 가르치는 구원론은
지나치게 개인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조상과 가족들은 지옥에 가더라도
나만 예수를 믿고
구원을 받아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러한 제한적 구원론은
참다운 그리스도의 가르침이라고 할 수 없고
오히려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구원의 이름으로 
가증스럽게 우상화시키는 우를 범하게 됩니다
이 땅에 그리스도의 구원이
참다운 복음으로 완성되려면
과거의 한국인들이 향유했던
공동체의 초역사적 경험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구원의 확신이라는
한 개인의 심리학적 인식론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통적 공동체 의식과 조화를 깨트려버린다면
그것은 오히려 죄를 저지르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구원은 전 시간적인 것이지
현재와 미래에만 제한된 것이 아닙니다
과거가 결여된 구원은 불완전한 것입니다
현대 과학이 밝혀주듯이
과거와 현재와 미래라는 구분은
가상적인 것입니다
우리는 사실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연결된
총체적 순간순간을 살아가고 있을 뿐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참회록’이 지닌 위대성은
바로 과거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
곧 참회를 통하지 않고는 참된 구원을
이룰 수 없다는 점을 각성한 데 있습니다
그러나 참회록은 과거를
개인 중심적 차원에서 이해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것이 서양 그리스도교를 개인주의적 종교로 만든
동기가 되었다고 비판을 받습니다
한국 그리스도교는
이러한 개인주의적 전통을 극복해야만 할 것입니다
모더니티가 비판받는 오늘날의 포스트-모던적 정황에서
동양 사상이 훌륭하다고 재조명되는 이유는
그것이 근대 사상처럼 개인을 고립된 자아와 같이
물체론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공동체적 그물망의 중심과 같이
관계론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관계성의 그물망에서 분리된 개인의 구원은
완전한 구원이 될 수 없습니다
한국에서 그리스도교는 지하 종교가 아니고
오히려 한국 문화 위에 군림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교회가 신도들에게
과거의 공동체와 분리되는 결단을 영웅시하며
그것을 구원의 전제로 강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바로 그러한 개인주의적이고 기억상실증적 구원론이
그리스도교의 한국화를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 그리스도교가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한국 종교의 하나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 구원의 문제를 선결해야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구원받았는가?’
또는 그리스도교가 한국에 들어오기 전에 살던
사람들에 대한 구원 문제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이러한 당연히 물어야 하는 질문들을
더 이상 방치해둘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교를 몰랐던 조상들은 지옥에 갔고
그리스도교가 들어오기 이전의 한국은
마귀의 나라였다고 대답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무책임한 발언입니다
그런 대답은 신학이 아니라
‘마귀학’에 가깝습니다
또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칼뱅과 같은 서양 신학자들의
신학에서 찾는 경우가 많은데
한마디로 난센스입니다
왜냐하면 획일적 그리스도교적
문화의 바탕 위에서 구성된 그들의 신학에서는
이러한 비그리스도교적 과거에 대한
구원의 문제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던져진
우리가 해결해야 할 우리의 신학적 문제입니다
이제 한국 그리스도교는 이 과정의 문제를
신학적으로 풀어야 할 뿐 아니라
성례로서 의례화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흡영, 도의 신학2(2012)
제1장 우리 신학을 찾아서
제2부 한국 개신교 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안
_한국 개신교의 구원론은 재고되어야 한다
27-29 요약발췌
한국구성신학자 시원(始源) 김흡영은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로 
한국과학생명포럼의 설립대표이며
Graduate Theological Union 아시아신학 석학교수
Distinguished Asian Theologian in Residence였고
강남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며
인문대학장,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교목실장을 역임했다.
또한 한신대학교, 중국 복단대학교
연세대학교 글로벌신학대학원의 초빙교수였다.
영국 캠브릿지대학에 본부를 둔 과학종교학술원
International Society for Science and Religion 창립 펠로우이며
아시아신학자협의회Congress of Asian Theologians의
제6차와 제7차 총회의 공동의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도의 신학, 가온찍기, 왕양명과 칼 바르트 외 저술
성경이 보고싶고 교회가 궁금한 
미디어선교 기독교 인문학 아카이브 
웅박사PhD의 바이블리뷰 '귀한리뷰'
본 채널은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해
성경에 관심을 북돋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더 알고 싶으시다면 성경을!
더 궁금하시다면 가까운 교회를!!
모든 영상은 회원님께 선공개 후 순차적으로 전체 공개됩니다
(또는 회원님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된 영상이 공개됩니다)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귀한리뷰  
 
대한민국 의외성 넘버원 미디어선교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기성) 출신 
한국기독교대학 신학대학원협의회 11기 목사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 함께하는교회 대표
조직신학 석사(Th.M. 구성신학_신학방법론)
성서신학 박사(Ph.D. 구조주의_해석방법론)
   
지금 여기에 살아 있는 말씀이 되도록
재해석 재구성 재창조하는 자기주도신학
기독교 인문교양 평생학습
His 스토리 기독교 인문교양채널 귀한리뷰
귀한리뷰 Ph.D., Rev.는 
성경을 통해 하나님 말씀의 
이해를 추구하는 신학적 해석
인간 이해를 위한 심리적 분석
실천적 적용을 위한 문화적 구성을 파악해
성경의 입체적 조명을 시도합니다
믿지 않는 자에게는 복음의 능력을!
믿는 자에게는 복음의 참여를!!
함께하는교회
농협 301-2004-8462-81
#구원론 #기독교 #한국교회
BGM_슈퍼트래커 퓨전 국악 연주 음악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