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와 사경은 사후세계를 위한 미신이 아니라, 삶의 방향과 중심을 세우는 수행의 방식입니다.
Автор: 자현스님의 문수선원 - 동양학의 EBS
Загружено: 2025-06-06
Просмотров: 4940
Описание:
“사경은 마일리지를 쌓는 일입니다.
그 공덕은 사후의 세계로 적립됩니다.”
✔ 경전을 손으로 베껴 쓰고 불에 사르는 '소지'는 전통적인 불교 의례 중 하나입니다.
✔ 이름을 써서 태우면 그 정성은 해당 인연에게 공덕으로 적립된다는 발상, 이를 ‘용취급 넣는 느낌’으로 표현합니다.
✔ 윤달이 낀 해에는 예수재 등을 통해 금강경 사경을 많이 하며, 하루 한 품씩 32일이면 완성되는 이 경전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잇는 수행으로 여겨집니다.
✔ “행복도 배워야 된다. 잘 노는 것도 수행이다.” – 단순한 정적인 기도만이 아니라 삶을 즐기는 지혜도 함께 강조됩니다.
✔ “나이를 먹으면 자꾸 흔들린다. 반복과 끈기의 습관이 필요하다.” – 사경을 통해 중심을 잡고, 마음을 다지는 수행이 가능합니다.
✔ ‘소지’를 통해 살아서도 복을 짓고, 죽어서도 이 공덕을 가져가는 길이 열린다고 말합니다.
✔ 사후세계에서도 ‘돈’과 ‘공덕’이 필요하다 – 복덕(물질적인 복)과 공덕(정신적인 전환)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설명합니다.
✔ 복덕은 수평적인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게 하고, 공덕은 삶의 ‘판’을 바꾸는 힘을 가집니다.
✔ 금강경 사경은 바로 이 ‘공덕’을 쌓는 대표적인 수행입니다.
✔ 살아 있는 사람에게는 복을, 돌아가신 이에게는 천도를 위한 힘이 되어줍니다.
✔ 한순간의 ‘복권’처럼 되는 변화는 드물고, 누적된 습관의 힘이 인생을 바꿉니다.
✔ “공덕은 삶을 수직으로 움직이게 하고, 복덕은 수평선 안에서의 위치를 바꾸는 힘이다.”
✔ 금강경 사경은 그 누적의 출발점이자, 변화의 특이점을 만드는 수행입니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자다가 뽀뽀 한 번에 깨어났지만,
그건 현실이 아니라 범죄입니다.
진짜 변화는 작은 습관의 누적으로 만들어집니다.”
“소지의 공덕은 전통이자 실제적인 믿음입니다.
그 믿음은 수행의 방식으로 완성되어야 합니다.”
“돌아가신 부모님께 금강경 사경을 태워드리는 것은,
그분의 다음 삶에 공덕을 보내는 수행입니다.”
“아이 이름을 적어 사경하고 태운다.
그건 자식을 위한 진정한 기도이자, 삶의 누적된 전환입니다.”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문수선원
'자현스님의 행복한 불교공부' 채널은 여러분의 후원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CMS 후원계좌: 신한 100-028-797247 대한불교조계종 영평선원
https://www.ihappynanum.com/Nanum/B/E...
1만원 이상 후원자는 매월 초하루에 영평선원에서 축원해 드립니다.
영상포교 법공양 후원: 1편 제작비 30만원
동영상 말미에 후원자에 대한 축원이 들어갑니다.
동참 방법: CMS 후원계좌에 후원자 이름으로 입금
문의: 010-8554-0220
네이버 밴드 쏘댕기기: band.us/@kumarajiva
제 사인본 책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의 맴버십 혜택을 보시고 가입하시면 됩니다요...
/ @자현스님짱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