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에 축적되는 열의 양* 계산식: 화재강도 = (열방출율 – 열손실율) ÷ 시간* 영향인자: 연료량, 비표면적, 공기공급량, 열손실율* 화재하중·
Автор: 소방안전의 정석
Загружено: 2025-10-20
Просмотров: 64
Описание:
*〈소방기술사 화재성상 제11편 – 화재강도·코안다효과·연소확대 방지대책〉*
🔥 이번 강의에서는 화재실의 열축적 현상을 나타내는 *화재강도(Fire Intensity)* 와
화염이 외벽을 타고 상층으로 퍼지는 **코안다효과(Coanda Effect)**,
그리고 **창문을 통한 연소확대 방지대책**까지 정리했습니다.
주요 학습 내용
1️⃣ *화재강도 (Fire Intensity)*
정의: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에 축적되는 열의 양
계산식: 화재강도 = (열방출율 – 열손실율) ÷ 시간
영향인자: 연료량, 비표면적, 공기공급량, 열손실율
화재하중·화재가혹도와의 상관성
화재강도가 높을수록 최고온도 상승 → 구조물 내화성능 저하
2️⃣ *코안다효과 (Coanda Effect)*
정의: 유체(화염)가 벽면에 부착되어 따라 흐르는 현상
원인: 점성력과 표면 부착력, 경계층 마찰
결과: 외벽을 따라 화염이 상승하여 상층으로 연소 확대
3️⃣ *창문을 통한 연소확대의 과정*
화재실 내 온도 500℃ 이상 시 유리창 파손
분출화염이 외벽에 부착되어 상승
상층 창문으로 유입되어 2차 화재 발생
4️⃣ *연소확대 방지대책*
*스팬드럴(Spandrel) 높이 증가* : 최소 90cm 이상, 1시간 내화성능 확보
*캔틸레버(Cantilever) 설치* : 슬래브를 외벽보다 1.5m 돌출
*불연성 외장재 시공* : 외벽 마감재 불연화
*드렌처 설비 / 스프링클러* : 화염 상승을 수막(水幕)으로 차단
*방화유리 및 창호 크기 최소화* : 화염 분출 자체를 억제
⚙️ 핵심 공식 및 관계식
*화재강도 = 열축적율 = (열방출율 – 열손실율)/시간*
*비표면적(S) = ρ × d*
**코안다효과**: 화염이 외벽면에 부착되어 상승하는 현상
*수동적 대책 (Passive)* : 스팬드럴, 캔틸레버, 불연재, 방화유리
*능동적 대책 (Active)* : 스프링클러, 드렌처 설비
이해 포인트
화재강도는 화재하중·가혹도와 직접 연계되는 **열적 지표**입니다.
코안다효과는 외벽 부착화염(Wall Attachment Fire)의 대표적 현상으로,
**상층 연소확대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실제 설계에서는 구조적(수동적) + 설비적(능동적) 대책을 병행해야 합니다.
추천 시청 대상
소방기술사 / 화재감식평가기사 / 소방시설관리사 수험생
소방설계, 제연, 내화, 방화구획 실무 담당자
건축방화 및 피난안전설계 담당 기술자
-
이번 영상은 “화염이 외벽을 타고 오르는 이유”를 근본적으로 해석했습니다.
수치·물리적 개념을 기반으로 **현장 설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해석력**을 제공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다음 강의 제작의 힘이 됩니다.
🔥 함께 공부하는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
#소방기술사 #화재강도 #코안다효과 #스팬드럴 #캔틸레버 #드렌처설비 #화재성상 #화염확대 #화재공학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