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위대한 유산 과학, 문화, 국방, 외교, 애민정신 | 왕이 만든 인프라 시간·문자·외교의 풀스택 혁신
Автор: 아톰쌤
Загружено: 2025-10-07
Просмотров: 5
Описание:
한밤의 한양, 둥둥 북소리와 쨍- 징 소리가 도시의 시간을 켭니다. 이것은 단순한 알림이 아니라 국가가 제공한 표준 시간 인프라, 곧 자격루의 신호였죠.
이 영상은 세종대왕을 최고의 시스템 설계자/PM라는 관점에서 다룹니다. 문자(훈민정음), 과학(자격루·앙부일구·측우기), 지식 배포(갑인자·농사직설·의방유취), 안보/외교(4군6진·대마도 정벌·계해약조·사대교린)까지—사람을 중심에 둔 풀스택 혁신의 디테일을 이야기합니다.
핵심 포인트
한양의 “소리로 여는 아침”: 자격루가 만든 도시의 리듬
집현전: 왕립 싱크탱크이자 R&D 허브, 장영실의 발탁
훈민정음(1443 창제, 1446 반포): 정보비대칭을 무너뜨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혁신
측우기(1441)와 앙부일구: 데이터로 움직인 농정
갑인자(1434): 지식의 대량 배포 플랫폼
4군6진·대마도 정벌(1419)·계해약조(1443): 하드파워×소프트파워의 포트폴리오 외교
보고 느낀 점, 시험 대비 질문, 수업 활용 팁—댓글에 남겨 주세요.
좋아요👍 & 구독🔔은 다음 연구에 큰 힘이 됩니다!
[00:00:05] 표준 시간 인프라: 자격루와 사회적 약속
[00:01:58] 리더십 기반: 지편전과 인재 발탁 (장영실)
[00:04:35] 문자 혁명: 한글 창제와 정보 접근성
[00:06:24] 과학 영농: 측우기, 앙부일구, 농사 직설
[00:09:08] 외교 안보: 대마도 정벌 및 4군 6진 구축
[00:13:05] 총괄 결론: 백성을 위한 시스템 설계자
태그
#세종대왕, #자격루, #훈민정음, #집현전, #장영실, #앙부일구, #측우기, #갑인자, #농사직설, #의방유취, #4군6진, #계해약조, #대마도정벌, #조선역사, #한국사능력시험, #한국사, #조선과학, #사대교린, #한양, #표준시간, #세종, #조선왕조, #과학사, #외교사, #한국사공부, #수능한국사, #역사유튜브, #교육콘텐츠, #교양사, #교과연계
한국사능력시험 대비 7문제 (객관식 5지선다 · 정답/해설 포함)
1.
세종 대에 제작된 자격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력으로 물의 높이를 상시 관찰해 종을 쳤다
② 시간 신호가 성문 개폐·시장 운영·통행금지와 연동되었다
③ 한낮에만 사용 가능해 야간 운용이 불가했다
④ 태종 대에 설치되어 세종은 유지보수만 했다
⑤ 서양 선교사가 기술을 전했다
정답: ②
해설: 자격루는 자동 타종 장치로 도시 운영의 표준 시보 역할을 수행, 성문·시장·통금 등과 결합해 질서를 만들었다.
2.
다음 중 집현전의 기능을 가장 적절히 설명한 것은?
① 왕실 족보 편찬 전담 기관
② 군사 전술만 연구한 참모본부
③ 고전 강독에 한정된 도서관
④ 국가 운영 전반의 연구·정책 개발을 담당한 싱크탱크
⑤ 세자의 교육만 담당한 서연
정답: ④
해설: 집현전은 학술 연구를 넘어 정책·과학·법제·농정 등 실용 과제를 수행한 R&D 허브였다.
3.
세종 대 인쇄술 혁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목활자 ‘갑인자’로 속도를 낮췄다
② 금속활자 ‘갑인자’(1434)로 인쇄 효율을 크게 높였다
③ 고려의 금속활자를 폐기했다
④ 활자 수를 줄여 보급이 느려졌다
⑤ 활자 개량과 농정은 무관했다
정답: ②
해설: 구리 합금계 갑인자는 조판·주조 효율을 개선해 지식 보급 속도를 끌어올렸다. 농사직설 등 보급에 기여.
4.
세종 대 농정 데이터화와 직접 관련 깊은 것은?
① 승정원일기 편찬
② 대동법 시행
③ 측우기 설치와 강우량 보고 체계
④ 균역법 제정
⑤ 경국대전 완성
정답: ③
해설: 1441년 측우기는 표준 규격으로 강우량을 측정·보고, 가뭄·홍수 대응의 데이터 기반 행정을 가능케 했다.
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조약은?
“대마도주에게 제한적 무역을 허용하는 대신 왜구 단속 책임을 부여, 한·일 해상 치안을 안정시킴(1443).”
① 기유약조 ② 삼포왜란 ③ 기해동정 ④ 계해약조 ⑤ 임진왜란
정답: ④
해설: 계해약조(1443). ‘채찍(1419 대마도 정벌)→당근(무역권)’의 투트랙 외교 사례.
6.
다음 중 4군 6진과 직접 관련이 깊은 인물·내용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최무선—함경도 개척
② 이종무—압록강 방어선 구축
③ 김종서—압록강·두만강 유역 방어선 확립
④ 양녕대군—두만강 방어선 개척
⑤ 신숙주—함흥 방어선 포기
정답: ③
해설: 김종서가 북방에 4군 6진을 설치, 국경선을 명확히 해 지속 가능한 경계 시스템을 구축.
7.
훈민정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
②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뜸
③ 백성의 정보 접근성을 높인 문자 정책
④ 집현전 학자들이 일치단결해 반포를 반대하지 않았다
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을 지닌다
정답: ④
해설: 기득권층 일부와 집현전 내 반대 상소도 존재. 세종의 의지로 1446년 반포가 이뤄졌다.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