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55조 달러 부채의 산 사태를 조심하라! 세계 경제위기 경고등이 켜졌다? 이종우 센터장 | 815머니톡
Автор: 815머니톡
Загружено: 2020-01-30
Просмотров: 52114
Описание:
신흥국의 부채가 55조 달러를 돌파하면서 부채의 산사태 경고가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신흥국 발 세계 경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서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종우 센터장님의 분석을 들어봅니다! (촬영일 1월 23일)
0:31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와 너무 많은 유동성을 푸는 과정에서 많은 부채가 만들어졌다.
전 세계 부채 총 합은 약 250조 달러 정도. 지구인 1인당 4천만 원의 빚을 지고 있는 셈.
1:30 2004년도에 126조 달러였는데 빚의 증가 속도가 너무 빨라졌다.
1:51 신흥국 부채가 55조 달러 정도. 2010년도부터 GDP대비 54% 상승. 그 중에서도 기업부채문제 심각.
2:16 중국 2008년도에 기업부채가 4조 달러에서 현재 19조8천억 달러로 증가. 13년 사이에 4배 정도 증가.
2:38 금융위기 이전 에는 빚이 증가할 때 선진국이 80%, 신흥국이 20% 늘어났다. 금융위기 이후에는 선진국 50%, 신흥국 50% 증가했는데 선진국은 정부부채가, 신흥국은 기업부채가 증가.
3:57 중국의 과다설비투자로 공급과잉 사태로 가격상승이 어려워졌고 기업수익이 나기 힘든 상황이 됐다. 이자와 빚을 갚기 어려운 기업들은 도산하게 되고 은행과 정부들도 힘들어진다.
4:57 신흥국들의 경제위기 가능성 있다. 기업과 은행들이 그런 상황을 견딜힘이 어느 정도인가, 정부가 재정을 통해 희석시켜줄 수 있는 능력에 따라 강도나 속도가 달라진다.
6:34 정부입장에서 경기의 모멘텀을 제공해주는 것이 손쉽기에 금리인하, 양적완화의 유혹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7:33 작년 7월 연준의 금리인하는 안하는 게 나았을 것이다.
8:02 부실 모기지 채권과 우량 채권을 섞어서 만든 파생상품이 문제 된 것처럼, 현재도 우량 기업부채와 부실기업부채를 섞어서 만든 파생상품(CLO)이 대량 거래되면서 위험이 급증.
9:41 당분간은 저금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정부들 차원에서 문제 심각성을 알고 있고 자산가격의 버블이 꺼지는 상황도 원치 않는다.
12:53 사람들의 기억이 약해지게 되면 수익에 대한 욕구가 다시 생긴다. 그래서 비슷한 형태의 위기가 반복적으로 생긴다.
13:34 만든 금융상품이 굴러가는 동안에는 문제가 없다, 라고 생각한다. 판매수수료도 좋고 그러다 양이 늘어나게 돼서 일부의 문제가 터지고 결국 통제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