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유엔공원 방문 유엔군으로 참전 41,000명전사 유엔공원에서 2333명 영면중인 영웅묘역참배 푸른초장교회 초청 한미안보 정책센터임원진과 갈렙회임원진 경건하게 기도하며 묵념
Автор: TV 산머루 (산머루)
Загружено: 2025-07-12
Просмотров: 101
Описание:
**유엔기념공원 (부산 유엔군 참전묘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엔이 직접 관리하는 묘지로, **한국전쟁 중 전사한 유엔군 장병들의 희생을 기리는 성지**입니다. 이곳은 단순한 묘지가 아니라, **자유와 평화의 상징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어요.
---
🏞️ *기본 정보*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
**운영 시간**: 오전 9시 ~ 오후 5시 (10월~4월), 오전 9시 ~ 오후 6시 (5월~9월)
**입장료**: 무료
[공식 웹사이트](https://www.unmck.or.kr/)
---
🕊️ *역사적 배경*
1951년 유엔군사령부가 조성
1955년 대한민국 국회가 유엔에 토지를 영구 기증
1974년부터 11개국으로 구성된 국제관리위원회가 운영
2007년 대한민국 근대문화재로 등록
---
🌍 *묘역 현황*
**안장자 수**: 약 2,300여 명
**참전국**: 미국, 영국, 캐나다, 터키, 프랑스, 호주, 네덜란드,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노르웨이, 대한민국 등 11개국
대부분의 유해는 본국으로 이장되었고, 일부는 이곳에 영구 안장됨
---
🏛️ *주요 시설*
**추모관**: 건축가 김중업 설계, 다국적·다종교적 의미를 담은 공간
**유엔군 위령탑**: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 조각과 각국 전사자 수가 새겨진 동판
**무명용사의 길**: 이름 없이 산화한 용사들을 위한 11개의 물계단과 분수
**추모명비**: 40,896명의 유엔군 전몰장병 이름이 새겨진 검은 벽과 꺼지지 않는 불꽃
---
🌸 *의미와 상징*
유엔기념공원은 단순한 묘지가 아니라 **세계 평화와 자유의 가치를 되새기는 공간**입니다.
매년 11월 11일 오전 11시, 전 세계가 이곳을 향해 1분간 묵념하는 *‘Turn Toward Busan’* 행사가 열립니다.
---
이곳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묘지로서, 세계평화와 자유의 대의를 위해 생명을 바친 유엔군 전몰 장병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이곳 묘지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였으며, 같은 해 4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가 안장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였습니다. 1955년 12월 15일, 한국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간에 “재한 국제연합 기념묘지 설치 및 유지를 위한 유엔과 대한민국간의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지금의 유엔기념묘지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 (UNCURK, 언커크)에 의해 관리되었으나, 1974년 UNCURK 가 해체됨에 따라, 관리업무가 11개국으로 구성된 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Commission for the UNMCK)에 위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재한유엔기념공원 연혁
유엔기념공원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묘지입니다.
유엔기념공원
유엔기념공원 소개
역사
유엔군 지원 현황
안장자 및 전사자 현황
시설물 안내
자연환경
참배시 준수사항
찾아오시는 길
역사Home 유엔기념공원 유엔기념공원 소개
이곳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묘지로서, 세계평화와 자유의 대의를 위해 생명을 바친 유엔군 전몰 장병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이곳 묘지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였으며, 같은 해 4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가 안장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토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하였습니다. 1955년 12월 15일, 한국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간에 “재한 국제연합 기념묘지 설치 및 유지를 위한 유엔과 대한민국간의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지금의 유엔기념묘지로 출발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 (UNCURK, 언커크)에 의해 관리되었으나, 1974년 UNCURK 가 해체됨에 따라, 관리업무가 11개국으로 구성된 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Commission for the UNMCK)에 위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재한유엔기념공원 연혁
1951.1.19.유엔군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사령부가 조성
1955.11.17.대한민국 국회가 토지를 영구히 기증하고, 성지로 지정할 것을 유엔에 건의
1955.12.15.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
1959.11.6."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 체결
1974.2.16.관리업무가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에서 11개국으로 구성된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CUNMCK)로 위임되어 현재에 이름
2007.10.24.근대문화재 등록(등록문화재 제359호)
Повторяем попытку...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