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문화센터
조선의 거유(巨儒) 남명 조식의 삶과 사상-송치욱[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고고자료로 본 금관가야의 발전과정-심재용[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김해말과 가야어 - 김정대[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고대 왜의 정체에 연동된 일본서기 미마나(任那)의 성격과 위치에 대해 -김수지[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5세기 아라가야 최고 지배자의 무덤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 (함안 말이산고분군 45호분)-정현광[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황강유역의 가야, 합천 옥전고분군-류창환[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광개토태왕릉비 쟁점기사의 재해석-도명[2025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고깔(弁)과 가야의 연관성-문광희[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대동여지도로 읽는 낙동강 하구 지명-김우락[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살아 움직이는 일본 열도 가야 문화-김문길[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야사와 일본의 천손강림신화-오순제[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고고자료로 본 금관가야-심재용[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다선일미(茶禪一味)-Buddhapala[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야차문화 소고-정영도[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수로왕릉 숲길 인문학-김우락[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광개토태왕릉비의 주요쟁점에 대한 새로운 연구-도명스님[2024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진경대사탑비의 새로운 해석-도명스님[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수로왕릉(납릉), 전각과 석물의 배치와 변천-심교신[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락국의 삼대사찰에 관한 연구-지원스님[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야문화와 풍수지리-김성기[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야국 역사-김성문[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김해에는 정현석, 동래에는 정현덕-최학삼[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한국 전통 문화의 원류에 대한 소고-정영도[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광개토태왕릉비 변조와 임나의 위치에 대한 고찰-도명스님[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사진과 시로 만나는 강담운[2023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김수로왕릉과 허왕후릉 이야기[2022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정현석 김해부사 연구 [2022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락왕도 김해의 포구[2022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탈춤과 김해 오광대[2022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
가야! 가야! 가야! [2022학년도 가야학 아카데미 "그랜드 가야 연구 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