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광선
본 채널에는 제가 좋아하는 왕페이(王菲)의 노래들을 번역하여 영상과 함께 업로드하였습니다.
가사 번역은 부족하나마 모두 저의 번역입니다. 어색한 표현이 많지만 저로서는 최대한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업로드 영상으로 인한 개인적인 수익창출은 없습니다.
향후 추가 업로드 계획 없습니다.
현재 업로드 된 영상들은 향후 저작권 문제로 영상이 차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이미 몇 곡이 차단된 상태입니다).

Foucault no.28 국가는 원자폭탄만큼 두렵다: 푸코의 '통치성'으로 해부하는 국가 공포증과 전후 독일의 경제적 기적(1979.01.31)

Foucault no.27 자유는 어떻게 통제되는가: 푸코의 눈으로 본 자유주의의 역설(1979.01.24)

Foucault no.26 자유주의적 통치술의 특징: 시장, 진리 형성 장소, 권력 제한(1979.01.17)

Foucault no.25 국가, 스스로를 제한하다: '너무 많은 통치'의 역설(1979.01.10)

Foucault no.24 국가의 야망, 개인의 자유: 푸코가 파헤친 통치의 거대한 전환(1978.04.05)

Foucault no.23 17-18세기, 경찰은 어떻게 국가의 '만능열쇠'가 되었나(1978.03.29)

Foucault no.22 베스트팔렌 조약, 끝나지 않은 전쟁: 푸코, 국가 경쟁의 기원을 추적하다(1978.03.22)

Foucault no.21 17세기 국가 권력의 민낯: '국가의 이성' 심층 분석(1978.03.15)

Foucault no.20 신의 죽음과 국가의 탄생: 16세기, 통치의 패러다임 대전환(1978.03.08)

Foucault no.16 목자와 양떼, 그리고 통치: 푸코가 파헤친 권력의 오래된 기원(1978.02.08)

Foucault no.19 이끌림에 저항하는 오래된 지혜: 푸코의 '반 행동'으로 오늘을 읽다(1978.03.01)

Foucault no.18 영혼의 회계 감사: 푸코가 파헤친 초기 기독교, '나'를 만든 권력의 기원(1978.02.22)

Foucault no.17 보이지 않는 목자: 고대 그리스는 왜 지도자를 양치기에 비유하지 않았을까(1978.02.15)

Foucault no.15 통치, 그 당연한 말의 격변: 16세기에서 현대까지 권력의 심층 탐사(1978.02.01)

Foucault no.14 푸코의 두 얼굴: 규율 vs 보안, 그리고 '정상화'가 된 인구(1978.01.25)

Foucault no.13 인구 관리의 기술: 푸코의 '통치성'으로 읽는 자유와 통제의 역사(1978.01.18)

Foucault no.12 푸코의 권력 3단계: 법, 훈육, 그리고 우리를 통치하는 '환경'(1978.01.11)

Foucault no.11 생명 살리는 권력이 왜 죽음을 낳나: 푸코의 경고, 국가 인종주의의 탄생(1976.03.17)

Foucault no.10 국가, 혁명의 무기가 되다: 시에예스가 뒤흔든 세상(1976.03.10)

Foucault no.9 역사는 전쟁이다: 프랑스 혁명, 야만인의 부활, 그리고 권력 투쟁의 무대(1976.03.03)

Foucault no.8 지식은 무기다: 푸코가 해부하는 역사 속 권력 투쟁(1976.02.25)

Foucault no.7 역사는 승자의 기록: 불랭빌리에가 해부한 권력 투쟁과 보이지 않는 전쟁(1976.02.18)

Foucault no.6 푸코의 1976년 프랑스 건국 신화 해부: 역사는 권력 투쟁의 기록이다(1976.02.11)

Foucault no.5 사회 질서는 전쟁 위에 세워졌나: 홉스 vs 푸코, 권력의 심층 해부(1976.02.04)

Foucault no.4 역사는 전쟁터다: 푸코의 '인종 투쟁' 담론, 저항의 칼날에서 국가주의 흉기로(1976.01.28)

Foucault no.3 '평화'라는 가면 뒤의 전쟁: 푸코가 해체한 권력의 작동 원리(1976.01.21)

Foucault no.2 우리를 길들이는 보이지 않는 손: 푸코의 권력, 일상 속 가면을 벗기다(1976.01.14)

Foucault no.1 푸코, 권력의 심층 탐구: 억압인가, 전쟁인가, 아니면...(1976.01.07)

Bourdieu no.02 부르디외, 베버를 넘어서: 알제리에서 파리까지, 두 거장의 지적 격투기

Bourdieu no.01 두 거장의 지적 혈투: 뒤르켐의 유산, 부르디외의 혁명적 재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