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ulture Voice
[본 채널은요.....]
- 해외언론을 다루지만, 최신정보를 다루는 곳은 아닙니다. 소재의 선정기준 첫번째는 '정보의 퀄러티', '참신성'이며, '최신성'은 후순위입니다.
- 속보경쟁을 하지 않고, 다른 경쟁 채널을 아예 참조하지 않기 때문에,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클립과 중복된 주제가 다소 늦게 올라올 수 있습니다.
- 번역은 핵심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의역과 축약을 기본으로 합니다.
- 주된 주제는 '한국문화'와 '한류' 입니다. 그 외에도 한국과 관련된 사회, 경제, 인문적 내용도 다루며, 시기에 따라 단기 이슈성 클립도 올립니다.
- 채널 운영의 정치적 의도는 전혀 없습니다만, 부지부식간에 제 정치색이 묻어나는 클립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최대한 정치색은 배제토록 노력하겠습니다.
[혐오성 댓글은 차단됩니다.]
- 본 채널은 편가르기 혐오성 발언(남성혐오, 여성혐오, 외국인 혐오, 이슬람 혐오), 지역감정 조장 발언을 할 경우 댓글 사용이 차단됩니다.
- 그 밖에 극우, 극좌적 정치색을 드러내는 경우, 거짓정보, 인격적 모독, 지나치게 공격적 댓글도 차단됩니다.
- 다만, 댓글러들간 논쟁이 격화되는 경우는 가급적 차단과 삭제는 하지 않겠습니다.
- 영상에 대한 오류의 지적이나 비판은 환영하지만, 기본적인 매너는 지켜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기타 : 개인채널이기 때문에 운영자의 주관에 의해 차단될 수 있습니다.
왜 K-불교는 힙해졌을까? 종교가 아닌 태도를 택한 한국사람들
반도체 제국, 침묵의 계승자 한국 - 2등을 거부한 나라
‘한국 덕후’들, 세계 대학을 바꾸다 - 새로운 친한파 세대의 등장
외신이 사랑한 한국 포차, 길 위에서 만나는 가장 한국적인 순간
Cool Korean! 캐나다 현지에서 느끼는 위상 변화 - 한국계 디아스포라가 전하는 ‘새로운 한국의 얼굴’
‘괜찮아’는 It’s okay가 아니다 - 쉽게 번역되지 않는 한국의 감정언어
김밥에 스토리를 부여하는 워싱턴포스트 - 한 줄 김밥이 만들어낸 문화적 파동
‘포괄적 강국’ 모델 한국 - 폴란드 언론이 주목한 입체적 브랜드의 힘
어느 유명 디자이너의 고백… 한류가 통째로 바꿔 놓은 시선
포브스, 이 나라가 어떤 나라인데.. 한국이 만만하지 않은 이유
케데헌이 일으킨 글로벌 파장, 모든 한국적인 것에 대한 호기심의 파도
추방의 덫에 걸린 트럼프… 미국 언론도 경악했다
G7에 한국이 필요한 이유, 어느 핵심 캐나다 외교관의 시선
영국인들이 소주의 맛을 알게 된 사연 - 가디언이 본 한국 소주의 반전
전 세계 2억 명이 빠진 한국 콘텐츠... BBC는 왜 ‘문화 승리’라 했을까?
만세!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만 외치는 말의 비밀
넷플릭스가 말하는 ‘한류의 진짜 변화’ – 문화 간 대화를 촉발하다
이게 바로 K‑컬처! BBC가 집중 분석한 케데헌 신드롬!
CNN이 주목한 K-방산! 최대 고객은 ‘전쟁 최전선’
“절대 안 팔린다”던 떡볶이, 퀘이커와 1등 싸운다?! - 파란만장 해외 반전 스토리
한국으로 가득 찬 미국 애니, 전 세계를 휩쓸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
세계는 지금 ‘다음 한류’를 묻고 있다 – 뉴욕타임스가 본 한국
민주 한국의 복귀 — 외신이 감탄한 기적의 역전 드라마
일본 여성들의 새로운 연애 판타지 - 한국 남자
일본 이야기였는데.. 왜 한국 이야기로 끝날까?
한국의 시위문화는 왜 이렇게 강력한가? - 서구의 편견을 부숴버린 시위문화!
외국인들이 사랑한 아름답고 기묘한 한국어 단어
우리가 몰랐던 한류의 첫 거점… 왜 하필 대만이었을까?
왜 한국인은 개에게 가족을 투영하기 시작했을까? 개고기 논란까지 있던 한국이 변했다고?
‘일본에 없는 것’ 한국이 일본을 사로잡은 5가지 이유 - Ft. 일본언론이 본 한국인의 기질과 일본의 반성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