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생물학 분야에서의 국가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정보 및 정보 분석도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과학재단과 포항공과대학교의 지원으로 1996년 1월에 설립되었고 같은 해 5월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현재의 센터는 국내 생물학 연구자들의 정보수집의 장 뿐만 아니라 서로간의 의견교환이 가능한 interactive discussion forum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D MXene 나노물질 기반 하이브리드 하이드로젤을 활용한 감염성 당뇨병 상처 복합 치료
이중가닥 DNA deaminase 를 활용한 표적 chromatin accessibility 분석과 CRISPR scanning과의 결합
2024년~ 2025년 제약바이오 산업 주요 딜 트렌드
Parkin 매개 HMGB1 유비퀴틴화와 대형 세포외소포체를 방출을 통한 항암 면역 활성화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티미딘 대사와 mtDNA 사본수 변화
신경세포 시냅스 항상성 가소성의 통합 메커니즘 규명
알츠하이머병에서 미주신경 원심성 경로를 통한 병적 타우의 뇌에서 대장으로의 전파
희귀 식물 할로게나제의 단계적 다윈식 진화 추적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위한 BDNF (뇌유래신경영양인자) 기반 나노약물 뇌 전달 시스템
BRICx과커[톡톡인터뷰 with NAMs] 오가노이드는 동물실험 대체 할 수 있을까? -임가람 교수
Sesquiterpene Lactone 화합물 Estafiatin의 항염증 효과: Mycobacterium abscessus 감염 모델에서 IL-1β 조절을 통한 기전 분석
NADPH oxidase의 저해제에 의한 알츠하이머병의 뇌의 회복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지질나노입자의 엔도좀 탈출 효율 측정
히스톤 변이체의 후성유전적 유전체 안정성 보호 기전
자폐증 Cntnap2 모델에서의 망상시상핵 과흥분성
즉시 체내 이식을 위한 대량의 줄기세포가 탑재된 완전 분해성 알지네이트 기반 코어/쉘 마이크로겔 제작 및 적용
3차원 확산 확률론적 생성 모델을 이용한 파킨슨병 환자들의 18F-FP-CIT PET 영상의 바이오마커 활용성 검증
연속흐름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인산 처리된 바이오애노드의 전위 의존적 임피던스 특성과 성능 향상
AI 학습이론으로 본 소뇌의 기억 이전 메커니즘
시원함을 느끼는 길을 찾다: 피부에서 척수로 이어진 신경지도
Targeted B-cell therapies: 면역항암치료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로의 전환을 위한 성공적인 비임상 평가 전략
광간섭단층촬영(OCT) 장비를 이용한 인체 귀 영상화 연구
세포를 나온 리보솜, 진화에 숨겨진 고리구조 합성 능력
MARS CAR-T 출시: CAR-T 치료제 제조 혁신을 위한 신속하고 순도 높은 T 세포 분리 솔루션
리피도믹스 데이터의 분석과 이해 Ⅱ
삼중음성유방암에서 CARM1에 의해 메틸화된 MAP2K4의 역할에 대한 연구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한 백신과 화장품 전달의 새로운 가능성
Immuno-SERS을 활용한 인간 뇌 오가노이드를 통한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및 APOE–Tau 축의 동적 변화 모니터링
자가응집하는 휴먼 라이소자임 단백질 중간상태(intermediate state)의 아마이드-파이(amide-π) 상호작용을 통한 안정화
임상 등급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치료제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 정책, HLA 하플로타입 은행 구축, 그리고 CRISPR 유전자 편집 기술의 통합 전략